메뉴

[인터뷰] 수원시의회 김호진 의원 “수원청개구리 복원은 수원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가 관심가져야”

지난해 일월저수지 인공서식지에서 발견된 멸종위기종 수원청개구리는 단 한 마리도 없어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 복원 사업은 수원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수원시를 넘어 국가 차원에서 풀어가도록 해야 합니다”

 

수원시의회 김호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율천동·구운동·서둔동)이 27일 수원시의회 도시환경교육위원회(위원장 조석환) 회의실 앞에서 수원청개구리 복원 사업의 방향 전환을 강조하며 한 말이다.

 

이날 김호진 의원은 제347회 제2차 정례회 중 진행된 도시환경교육위원회의 수원시 환경국 환경정책과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위와 같은 취지로 요구했다. 

 

우리나라 고유종인 수원청개구리는 1980년 수원에서 처음 발견했다. 2012년 환경부 멸종위기 1급 보호종으로 지정됐고, 경기 파주, 충북 주덕, 충남 아산 등 경기만 일대 논에서 소수가 서식한다.

 

 

 

 

우리나라 고유종인 수원청개구리는 1977년 일본 양서류 학자 구라모토 미쓰루가 수원 농촌진흥청 앞 논에서 처음 채집했다.

 

울음소리가 특이해 신종으로 판단하고 1980년 ‘수원청개구리’로 명명했다. 크기는 2.5㎝~4㎝이고 등면에는 녹색·황록색 바탕에 진한 녹색 또는 흑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배면은 흰색이다.

 

지난 2016년에는 환경부에서 약 4억 5천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일월저수지에 약 1천200㎡ 규모로 수원청개구리 인공 서식지를 만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일월저수지 인공서식지에서 발견된 수원청개구리는 단 한 마리도 없었다. 수원시의 수원청개구리 복원 관련 사업은 큰 틀에서 인공 서식지 복원 사업과 모니터링 사업으로 진행됐다.

 

김 의원은 “일월저수지 인공서식지 복원 사업은 잘못된 사업, 실패한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자연이 아니라 인공으로 만들다 보니, 면적도 좁아 오염에도 취약하고, 비가 오거나 하면 환경도 바뀌어 청개구리가 살 수 있는 곳이 못 된다는 얘기다.

 

특히 김 의원은 “국가 차원에서도 생물다양성 보존, 멸종위기종 보존에 대한 사업이 있기에 정부 차원의 사업으로 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국가적 차원에서 풀어나갈 수 있도록 수원시가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 이 기사는 홍재언론인협회 공동 취재로 작성됐습니다. 홍재언론인협회 회원사는 뉴스라이트, 뉴스피크, 일자리뉴스 뉴스잡, 경기중앙신문, 경기eTV뉴스, 뉴스타워, 뉴스인오늘 입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맹견 사고 걱정 끝!”인천시, 맹견 사육허가제 본격 시행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개정된 동물보호법에 따라 맹견 사육허가제를 도입하여 맹견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맹견 사육허가제도는 최근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반려견 개체수가 증가하고 물림 사고가 빈번함에 따라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해 시행하는 제도다. 맹견의 경우 오는 10월 26일까지 맹견 사육 허가를 받아야 한다. 법에서 정한 허가 대상 맹견은 도사견, 핏불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과 그 잡종의 개가 포함된다. 맹견 소유자는 동물등록, 중성화수술, 책임보험에 가입하는 사전요건을 갖춰 인천시에 맹견 사육허가를 신청하고 기질 평가를 받아야 한다. 기질 평가는 맹견에게 ‘입마개 착용시키기’, ‘낯선 사람과 지나가기’ 등 가상의 환경에서 맹견의 공격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총 12개 항목을 평가하고 사육 허가 결정을 위해 활용된다. 법에서 정한 맹견 외에도 사람이나 동물에 위해를 가하는 등 공공의 안전에 위험을 준다고 판단되는 반려견도 기질 평가를 거쳐 맹견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육이 허가된 경우라도 개가 사람, 동물을 공격해 다치게 하거나 죽게 한 경우 사육 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