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수원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송은자 시의원 "수원도시공사 3년째 적자, 내년엔 극복해야"

수원시의회 기회경제위원회, 24일 수원도시공사 2020년 행정사무감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수원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위원장 양진하)는 24일 수원도시공사에 대한 2020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송은자 의원(정의당, 비례대표)이 3년째 계속되는 수원도시공사의 적자를 극복하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먼저 송은자 의원은 수원도시공사가 출범한지 3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한다며 "올해는 2019년 대비 50% 밖에 수익이 없다. 그럼 내년도 수익은 어쩔 것인가"라고 대책을 물었다.

 

앞서 수원시는 지난 2018년 수원시시설관리공단을 수원도시공사로 전환했다. 당시 수원시는 개발수요 증가에 따른 난개발 방지와 친환경 도시 조성, 지방재정 악화에 따른 자체 수익방안 창출, 공공개발 이익의 환원을 통한 주민 복리 증진 등을 위해 시설관리공단 조직을 변경해 ‘수원도시공사’ 설립을 추진했다. 

 

2017년 2월 시행된 ‘수원도시공사 설립 타당성 용역’은 수원도시공사가 설립되면 생산유발 1조 4497억원, 부가가치유발 4,613억원, 고용유발 6,525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된다는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수원도시공사는 2019년 53억원 적자, 2020년에는 11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원영덕 수원도시공사 상임이사(경영기획본부장)는 "코로나19 때문에 마이너스 부분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하며, "내년도는 수익을 위해 새로운 전략을 짜서 운영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송 의원은 "시설관리공단에서 도시공사로 전환된 이래 3년 동안 손해만 보고 있다. 시에서 땅을 주니 그걸로 돈을 벌겠다고 했는데도 여전히 수익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언제쯤 독립채산제가 가능한가"라고 다그쳤다.

 

이에 원 상임이사는 "저희는 2018년도에 출범해서 사회적약자를 위해 일해 왔다. 당연히 플러스가 돼야 하겠지만, 아쉽게도 올해는 코로나 상황"이라며, "앞으로는 사회적약자를 위한 사업과 더불어 사회적가치 창출을 해나갈 것이고, 내년에는 잘 될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송 의원은 "의정활동을 하다보면 다른 지자체 의원들을 만날 때가 많은데, '도시공사를 우리도 할까?' 하고 관심을 갖고 묻는다"며, "그 질문에 '우리는 3년 됐는데 아직도 매년 적자를 보고 있다' 라고 답할 수 밖에 없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송 의원은 마지막으로 "수원도시공사 행감 자료는 세세하게 들여다 볼게 아니라 아주 간단하다. 3년째 적자인데, 어떻게 앞으로 돈 벌 것인지 방법을 내놔라는 것 밖에 없다"면서 "빨리 노력해서 독립채산제로 운영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어촌 안심 여행지, 경남 거제 다대마을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 다대어촌체험휴양마을 거제도 남쪽 끝자락에서 만나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어촌마을입니다. 바다와 함께하는 다양한 체험으로 일상에서 벗어나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 다대어촌체험휴양마을 추천여행코스 출발! → 거제의 바다학교 갯벌 체험 → 바다와 바람의 극장 바람의 언덕 → 바다 옆 오피스 워케이션 → 바다를 담은 작품 조개공예체험 → 어촌 속 힐링숙소 다대휴양마을 펜션. ① 갯벌 체험 넓고 깨끗한 갯벌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을 직접 만나볼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갯벌을 배우고 놀 수 있는 최고의 바다 놀이터입니다. 갯벌 속 보물 찾기처럼 짜릿한 시간이 기다립니다. ② 바람의 언덕 탁 트인 바다와 언덕 위 초원이 한눈에 펼쳐집니다. 풍차가 돌아가는 모습이 그림 같은 풍경을 완성합니다. 바다와 하늘, 바람이 만드는 힐링 무대입니다. ③ 워케이션 탁 트인 바다 전망 속에서 일과 휴식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바닷바람이 머리를 맑게 하고, 창밖 풍경이 영감을 줍니다. 새로운 형태의 휴가와 업무가 결합된 완벽한 공간입니다. ④ 조개공예체험 형형색색의 조개껍질로 나만의 기념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작고 소중한 바다의 일부를 작

중년·신중년뉴스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