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의회 황대호 의원 페이스북, 경기도교육청의 형식뿐인 '장애인식 개선 교육' 실태 질타!

"형식적인 장애인식 개선 교육, 경기도교육청은 실효성 있는 교육으로 개선해야"
"'차이'가 '차별'로 이어지지 않도록 교육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교육청은 장애인식 개선 교육을 위한 예산을 편성조차 하지 않고 각급 학교가 알아서 학교 운영비로 교육을 운영하도록 방치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교육청의 장애인식 개선 교육이 형식적이라고 지적하며 관련 자료를 공개한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황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4)의 페이스북 내용이다. 

 

황대호 의원은 22일 자신의 SNS를 통해 "장애인식 개선 교육은 조례에 따라 교육감이 장애 예방 및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으로 매년 1회 이상 도내 각 학교별로 수업계획 수립을 통해 교육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설명하면서 "정작 경기도교육청은 장애인식 개선 교육을 위한 예산을 편성조차 하지 않고 각급 학교가 알아서 학교 운영비로 교육을 운영하도록 방치하고 있어, 각급 학교의 71%가 예산을 아끼기 위한 형식적인 시청각교육으로만 진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황 의원은 “현행 '경기도교육청 장애인식 개선 교육 지원 조례'에는 ‘장애인식 개선 교육을 실시할 경우 교육감 및 학교장은 장애인 강사가 교육을 담당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전문 외부강사를 활용한 학교의 비율은 29%에 그치고 있고, 이 중 겨우 48%만이 장애인 외부강사를 활용하고 있을 뿐”이라며 “이는 매우 부끄러운 수치”라고 거듭 지적했다.


이어 황 의원은 “'차이'가 '차별'로 이어지지 않는 정의로운 사회의 시작은 교육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전제하며 “학교에서의 장애인식 개선 교육이 동영상 시청이나 대규모 강의에 의한 단순한 시수 채우기식 수업이 아닌 실질적인 교육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 내 유·초·중·고등학교 4,017개교 중 실태조사에 응답한 학교는 14%(575개교)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황 의원은 "지난 3월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관계자와의 간담회에서 장애인식 개선 교육의 내실화를 논의했다"며, "저학년일수록 중증장애인을 단순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는데 의견을 모은 바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6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코로나19 입원환자 급증.. '일상 속 예방수칙 준수' 당부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최근 병원급 표본감시 의료기관 221개소에서 집계한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2025년 33주차(8월 10~16일) 기준 302명으로, 26주차(6월 22~28일) 63명 이후 7주 연속 증가세다. 수원시는 코로나19 전파를 예방하고 고위험군을 보호하기 위해 시민들에게 기본적인 예방수칙 실천을 권고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손씻기, 환기, 기침예절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기침을 할 때는 옷소매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한다. 증상이 있을 때 의료기관, 감염취약시설, 사람이 많고 밀폐된 실내를 방문해야 하면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심하면 집에서 충분히 쉬어야 한다. 아울러 회사와 단체는 구성원이 아프면 쉴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밀폐된 실내 다중이용시설 방문을 자제하고, 발열·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인근 의료기관에서 신속히 진료받아야 한다.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는 종사자와 방문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주기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