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재명, "정작 국민에게 필요한 재난지원금은?.. 그 진실을 알고 싶다"

"코로나는 엄청난 희생과 고통을 안겨줬고, 가까운 기간 내에 끝날 것 같지도 않다"
"선별적 3차재난지원금을 신속 집행하되, 보편적 4차재난지원금도 서둘러야"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소득안정과 경제회생을 위해 "준비된 선별적 3차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집행하되, 보편적 4차재난지원금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앞서 1차 재난지원금보다 더 큰 규모의 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지역화폐로 지급해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지난 4일 국회의장 및 기획재정부에 송달한 후속 발언이라 더욱 눈길을 끈다.

 

이재명 지사는 6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얼마 전 국민의 3분지 2가 선별 지원에 찬성했다는 조사결과 보도가 있었는데, 경기도의 조사결과로는 그와 정반대로 경기도민 3분지 2가 2차재난기본소득(전 도민에게 10만원씩 지역화폐 지급) 지급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왜 조사결과는 극적으로 상반되며 대체 어떤 것이 실제와 들어맞는 것일까?"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 지사는 "현장의 중소상공인들 스스로 ‘나를 선별해 현금 주지 말고 국민들에게 지역화폐를 지급하여 매출을 늘려달라’고 공식 요구하고 있다"며, "체감상으로 2차 지원 효과는 거의 느껴지지 않지만, 1차 지원은 두달 이상 명절대목 이상의 호경기를 불러와 결과적으로 1차 지원금이 2차 지원금보다 소득양극화 완화 및 소비활성화 효과가 더 컸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지난 여름부터 시작한 2차 선별지원은 아직까지 끝내지 못하고, 지금도 선별중이라는 점을 보면 엄청난 행정비용과 사회적 낭비"라고 꼬집으며, "위기상황에 재정을 충분히 지출해 경제악화를 막는 것이 경제회생을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라고 강조하며, 보편적 재난지원금의 지역화폐 지급이 시급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그는 "이번 경기도의 조사를 통해 연령 이념 성향 등에 관계없이 재난기본소득 지급 필요성에 압도적인 찬성의견을 확인했다"면서 "다쳤을 때 잘 치료해야 건강을 회복해 일할 수 있듯이, 지금 쓰지 않으면 나중에 벌 기회조차 놓치게 된다"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이재명 지사는 "코로나는 너무 많은 희생을 가져왔고 지금도 고통을 안겨주고 있으며 가까운 기간내에 끝날 것 같지도 않다"고 우려하며, "소득안정과 경제회생을 위해서는 과연 선별적 재난지원금과 보편적 재난지원금 중 어느 쪽이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지 그 진실을 알고 싶다"고 의문을 제기하면서,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재난지원금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5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 도민에게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지급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68%로 나타났다고 6일  오전 발표한 바 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문화체육관광부, ‘걸어서 대한민국 한바퀴’, 걷기여행 떠나요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김장실,하 관광공사)와 함께, 걷기여행을 지역관광 대표 콘텐츠로 만들기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9일까지 코리아둘레길을 중심으로 ‘2023년 걷기여행주간’을 운영한다. 특히 코리아둘레길을 비롯한 전국의 500여 개의 걷기 여행길을 활성화하고자 지자체와 민간 걷기여행단체, ‘트랭글’·‘램블러’ 등 민간 아웃도어 플랫폼과 협력해 국민들이 걷기여행에 쉽게 동참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5. 26. 걷기여행주간 선포, 남파랑길 따라 국민원정대의 걷기여행 시작 먼저 남파랑길 시작점이자 해파랑길 종점인 부산 남구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5월 26일, ‘걷기여행주간’ 선포식과 국민원정대 발대식을 개최한다. 사전 공모를 통해 모집한 국민원정대는 남파랑길 각 코스의 역사 현장과 한국 근현대 문학의 정취를 체험하는 5박 6일간의 걷기여행을 떠난다. 이번 여행을 통해 남파랑길을 비롯한 코리아둘레길 인근의 관광자원과 안전 실태를 점검하고, 걷기여행이 더욱 매력적인 관광자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할 예정이다. 민간 플랫폼과 협력해 인증 이벤트, 플로깅 캠페인 등 다양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