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성습지, '호사도요'와 '쇠검은머리쑥새' 등 "희귀종 철새의 낙원" 확인

천연기념물인 '호사도요'와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쇠검은머리쑥새' 번식지로 확인된 화성습지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화성습지가 우리나라 천연기념물과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희귀 철새들의 '낙원'으로 확인돼 주목을 끌고 있다.

화성시(시장 서철모)는 '화성환경운동연합', '새와 생명의 터' 등의 환경단체와 함께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조류조사를 진행한 결과, 희귀 조류 총 20종이 화성습지를 번식지로 이용하며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천연기념물 제326호인 '검은머리물떼새'를 비롯해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한 멸종위기종 '쇠검은머리쑥새'와 이밖에 '장다리물떼새', '꼬마물떼새', '흰물떼새', '붉은발도요' 등 61종 15,720개체가 이번 조사에서 확인됐다. 

 

'쇠검은머리쑥새'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흔치 않은 겨울철새로, 암컷은 참새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참새보다 꼬리 깃털이 더 길고 수컷은 머리와 멱이 검정색이다.

 

 

특히 천연기념물 제449호인 '호사도요'는 화성습지를 번식지로 이용 중인 것으로 관찰됐다.

 

호사도요는 암컷이 여러 마리의 화려한 수컷을 거느리고, 알을 낳으면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보는 '애뜻한 부정'의 희귀 조류로도 유명하다.

 

최순규 강원대학교 박사이자 한국야생조류협회 이사는 “쇠검은머리쑥새의 번식기 관찰기록은 화성습지가 그만큼 자연성이 높고 중요한 번식지 기능을 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서철모 화성시장은 “우리뿐만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해서라도 생태계의 보고인 화성습지의 보존이 필수적인 이유”라고 설명하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화성습지 보존과 생물다양성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반려견과 함께한 친환경 도보 프로그램,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진행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이 주최한 시민참여형 환경정화 프로그램 ‘2025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행사가 지난 11월 2일, 오산시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삼남길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 일원에서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에 모여 반려견 동반 탐방 시 유의사항과 경기옛길에 대한 소개를 들은 뒤, 반려동물 매너 캠페인과 유기견 입양 홍보 시간을 함께 가졌다. 이후 오산천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를 걸으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고, 맑음터 공원에서 단체사진 촬영과 함께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반려인뿐 아니라 비반려인도 함께 참여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며 환경보호의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유기동물 보호 인식 제고의 기회를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도심 속에서도 반려동물과 함께 건강한 산책 문화를 실천할 수 있었고, 경기옛길의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한양과 지방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