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탁재훈 '원정 도박'으로 모처럼의 재기에서 또 연예활동 중지?

처음엔 극구부인했으나, 결정적 사진엔 묵묵부답
'컨추리꼬꼬' 신정환, 탁재훈 모두 '도박'으로 구설수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개그맨 강성범의 해외 원정 도박 의혹을 제기했던 연예기자 출신 유튜버 김용호 씨가 최근 방송인 탁재훈과 배우 이종원, 가수 승리(본명 이승현), 배우 변수미 등의 불법 도박 의혹을 추가로 제기해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방송인 탁재훈은 최근 ‘미운 우리 새끼’와 ‘우리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3- 뜻밖의 커플’로 방송 재기에 나선 터라 그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27일 유튜브 채널 '연예부장 김용호'에서는 "강성범 ‘정킷방’에 연루된 연예인들의 실명을 까야 경각심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해외 원정도박 의혹이 있는 연예인들의 실명을 언급했다.

 

탁재훈은 김 씨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도박할 돈이 없다"며 완강히 부인했고, 다음 날 언론인터뷰를 통해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과 함께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자 지난 29일 김용호 씨는 탁재훈의 결정적 증거가 담긴 영상을 게재했다. 김 씨는 코로나 직전에 필리핀 호텔 카지노 정킷방에서 찍은 영상이라며 캡처한 사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진을 자세히 보면 바카라 판"이라며 "이 곳은 소수의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정킷방(카지노 업체에서 돈을 주고 빌린 VIP 룸)이고 탁재훈이 바카라 테이블에 앉아 도박을 하면서 음식도 먹고 술도 마시며 여유롭게 도박을 즐길 수 있는 건 VIP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사진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찍었는지 탁재훈 본인도 알고 있다"며 "탁재훈이 너무 쉽게 법적 대응을 한다고 한 기사를 보고 황당해서 공개한 것이다. 이래도 발뺌할 거냐"라고 다그쳤다. 

 

 



김용호 씨는 "탁재훈은 다시 전화를 주기로 했으나 연락이 오지 않았다"며, 탁재훈이 증거가 올라오자 묵묵부답으로 버티고 있다고 덧붙였다.

탁재훈은 지난 2013년에도 일명 ‘맞대기’ 도박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검찰 조사에 따르면 탁재훈은 2008년 2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맞대기’ 도박에 2억 9천만 원 상당을 썼다. 당시 그는 공소 사실을 인정하고 집행유예 선고를 받았다.

따라서 최근 SBS 예능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에서 이상민과 함께 등장하여 ‘짠내’ 나는 싱글 라이프를 선보이며 MBN ‘우리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3- 뜻밖의 커플’에서도 모습을 비추고 있는 탁재훈의 향후 대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김 씨는 지난 20일 방송에서 강성범과 배우 권상우, 이종원의 도박 의혹도 제기했다. 그러나 이들은 "필리핀 한인회, 카지노 행사 등으로 카지노장에 출입한 적이 있었다"며, "10만원, 20만원 정도로 한 적은 있지만 '원정도박'은 사실 무근"이라고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안성시 일죽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르신 건강지팡이 지원사업 추진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일죽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마을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어르신 안전보행을 위한 건강지팡이 지원사업’을 추진해, 지난 9월 2일 관내 만 65세 이상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92가구에 건강지팡이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안성연 민간위원장을 비롯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과 공무원 등 16명이 참여해, 마을별 각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건강지팡이를 전달하고 어르신들의 안부를 확인하며 마음 건강도 함께 살폈다. 안성연 민간위원장은 “보행보조 지팡이가 어르신들의 일상생활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어려운 이웃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송기영 공공위원장(일죽면장)은 “바쁜 일정 속에서도 어르신들에게 진심어린 관심을 갖고 활동해주시는 협의체 위원님들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사업이 보행이 불편한 어르신들의 일상 회복과 사회활동 참여 의지를 높여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죽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이밖에도 ‘복지사각지대 발굴의 날’ 운영과 특화사업을 통해 기존 공적 제도에 지원이 닿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