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트 = 조용숙 기자】 경기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도시환경연구회’가 20일 도시환경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도 팔당수계 내 비점오염저감시설 실태평가 연구' 정책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팔당상수원 유역 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중점관리지역의 설정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보고회에는 백현종 위원장ㆍ김종배ㆍ김시용ㆍ최승용ㆍ임창휘ㆍ명재성 의원 등 도시환경연구회 회원과 연구책임자인 경기연구원 조영무 선임연구위원, 경기도 윤덕희 수자원본부장 등 관계 공무원이 참석하여 진행사항을 함께 논의했다.
조영무 선임연구위원은 “팔당수계 비점오염저감시설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일부 시설은 저감효율이 낮거나 강우 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입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설치되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팔당상수원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유입 하천의 오염원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필수”라며 “특히 남한강 유역 내 청미천ㆍ복하천ㆍ양화천ㆍ흑천이 비점오염 배출 부하량이 높은 지역으로 분석됐으며 주요 오염원이 축산계ㆍ산업계에서 기인하는 만큼 효과적인 저감을 위해서는 맞춤형 정책과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백현종 회장은 “현재 팔당상수원의 수질관리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므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실질적인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며 “보고회에서 제안된 보완 사항이 향후 최종보고서에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이번 정책연구용역을 최초로 제안하고 의미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해 주신 김종배 의원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며 “연구 결과가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계자들은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용역 결과는 상수원 영향권 수질관리를 위한 경기도형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관련 조례를 제ㆍ개정하는 등 도시환경위원회의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3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마무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