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광명시, 전국 최고 수준의 어린이보호구역 조성 나선다

어린이보호구역 실태조사 용역 착수… 관내 어린이보호구역 전수 조사

 

【뉴스라이트 = 이양지 기자】 광명시가 관내 어린이보호구역 안전 실태를 전수조사하고 안전기반시설을 강화한다.

 

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어린이보호구역 실태조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은 관내 지정 운영 중인 어린이보호구역 50개소의 교통사고, 보호구역시설 현황 등을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개선 필요사항을 도출해 더욱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어린이보호구역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교통사고 현황 분석 ▲보호구역 시설 및 통행량 현황 조사 ▲시설규정 준수 및 개선안 이행 여부 점검 ▲문제진단 및 개선안 검토 등을 오는 9월 말까지 추진한다.

 

시는 이번 용역을 바탕으로 보호구역 지정 및 해제, 관리에 반영하고,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기반시설을 강화할 방침이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시설은 교통안전표지, 노면 표지, CCTV, 신호기, 과석방지턱, 어린이 승하차 구역 표시 등이 있다.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온 결과를 단기적으로 처리 가능한 것은 즉시 개선하고, 중장기적으로 조치할 사항은 연차별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개선해 광명시 어린이들의 안전한 보행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교통안전시설의 정비와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검토하여 교통약자인 어린이가 365일 안전한 전국 최고 수준의 보호구역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관내 어린이 교통사고는 지난 2019년 18건에서 2023년 9건으로 연평균 16% 감소하는 추세이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사고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11건이 발생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중증응급질환 별 순환당직제로 대응.. 24시간 응급상황 대비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지금 이 시간까지 의료계가 집단휴진 결정을 바꾸지 않고 계신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날 의사집단행동 중대본 회의에서 한 총리는 "이러한 행동은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기고, 의료계와 환자들이 수 십년에 걸쳐 쌓은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집단휴진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의료계를 설득하는 한편, 집단 휴진이 발생하더라도 환자분들이 병의원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응급의료포털, 지자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문 여는 병의원을 적극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정부는 의사 집단 진료거부에 대비해 중증,응급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를 더욱 강화하는데, 먼저 골든타임을 요하는 응급환자 진료 차질 최소화를 위해 17일부터 중증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당직제를 실시한다. 아울러 순환당직을 신청한 기관들은 매일 4개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 광역별로 최소 1개 이상 당직 기관을 편성해 야간 및 휴일 응급상황에 24시간 대비한다. 정부는 17일부터 급성대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