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황의조 형수는 왜 몰카 영상 유출했나?

재판에 넘겨진 형수, 1심에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아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축구 선수 황의조(31·알라니아스포르)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협박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형수가 1심에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1부(박준석 부장판사)는 14일 성폭력처벌법상 카메라 등 이용 촬영·반포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형수 A 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하며,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와 3년 간 아동·청소년·장애인 관련 기관 취업 제한도 명령했다.

재판부는 “피해자 황 씨는 유명한 국가대표 축구선수이므로 그런 피해자의 성 관련 영상 사진을 인스타에 유포할 경우 특성상 피해자의 사진과 영상물이 무분별하게 퍼질 것임을 알았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성 관련 영상을 퍼뜨릴 것이라고 협박했다”며 “그 영상들을 끝내 인스타그램에 게시해 결국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국내외로 광범위 유포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죄질이 상당히 무겁다”고 판시했다.

형수 A 씨는 작년 6월 자신이 황 씨의 전 연인이라고 주장하며 황 씨가 다수 여성과 관계를 맺고 여성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동영상을 찍었다는 내용을 인스타그램에 공유한 혐의로 12월 8일 구속기소됐다.

아울러 황 씨에게 ‘풀리면 재밌을 것이다’, ‘기대하라’며 촬영물을 유포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내 황의조를 협박한 혐의도 받는다.

A 씨는 재판에 이르기까지 해킹 가능성을 주장하며 혐의를 줄곧 부인하다가 지난달 20일 범행을 자백하는 내용의 자필 반성문을 재판부에 냈고 선고 전날엔 법원에 2000만원을 형사 공탁했다.

 

그는 처음에는 오리발을 내밀었다. 그러다 3차 공판에서 덜미를 잡혔다.

 

협박 이메일 계정을 생성한 곳의 IP와 형수가 그 시각 있었던 기지국 IP 장소가 같은 네일샵이었다는 '빼박' 증거에 당황한 A 씨는 2주 뒤 반성문을 제출한 것. 

 

형수 A 씨의 반성문에는 "평소 황의조의 사생활을 관리하던 저는 휴대폰에서 한 여성과 찍은 영상을 발견했습니다. 저는 이 영상을 이용해 황의조를 협박해서 다시 저희 부부에게 의지하게 하려고 했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이어 "모든 것을 포기하고 5년 간 뒷바라지를 했는데… 남편과 황의조가 마찰을 빚었고… 그 간의 노고가 인정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배신의 깊이가 더욱 커졌고…" 라며 범행의 이유를 자백했고 "영상을 편집해서 카메라를 바라보는 여성의 얼굴이 노출되지 않게 했습니다." 라며, 마치 영상 피해자 여성을 배려하는 듯한 어이없는 뉘앙스를 풍겼다.

현재 기혼인 영상 피해자 여성은 이 사실에 분노하며, "(검찰의) 징역 4년 구형은 너무나 짧다. 내 고통은 가해자가 나온 뒤에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법원에 탄원서를 제출한 상태다.

한편 황의조 선수 역시 불법촬영 혐의 피의자로 현재 수사를 받고 있다. 경찰은 지난 8일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속보] 윤석열, 비상계엄 후 43일 만에 체포.. 현직 대통령 체포는 사상 처음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공수처·경찰이 15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착수한지 5시간 30분만에 체포영장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지 43일 만이다. 헌정사상 현직 대통령이 수사기관에 체포된 것은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탑승한 호송차량 행렬은 15일 오전 10시 33분 께 대통령관저를 출발해 한남대교를 지나 경부고속도로 양재IC를 통과하여 과천 공수처 방향으로 이동했다. 경찰 사이드카와 순찰차 여러대가 호송행렬을 엄호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달 3일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막기 위해 무장한 계엄군을 투입해 국회를 봉쇄하고, 영장 없이 주요 정치인사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직원을 체포·구금하려고 시도하는 등 국헌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를 받는다. 그는 지난달 18일, 25일, 29일 세 차례에 걸쳐 공수처의 출석요구에 불응했고, 공수처는 윤 대통령 조사를 위해 지난달 30일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서울서부지법은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응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 만한

중년·신중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