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피해 입은 양봉농가, "경기도 질병 컨설팅에 상담하세요"

2024년부터 낭충봉아부패병, 응애 등 17종, ‘양봉농가 꿀벌 질병 컨설팅’ 사업 추진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 북부동물위생시험소는 양봉농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올해 ‘양봉농가 질병관리 지원’ 사업의 하나로 꿀벌 질병 컨설팅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꿀벌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 되는 낭충봉아부패병은 유충이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말라 죽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전국의 토종벌을 집단 폐사시키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꿀벌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인 응애류는 기존 방제약에 내성이 생겨 박멸이 어려운 실정이다.

 

꿀벌 질병 컨설팅사업은 시험소가 농가별로 질병검사, 꿀벌 사양 정보를 수집한 후 양봉 전문 수의사가 위생관리와 애로사항 등에 자문하는 사업이다.

 

진단 대상은 17종 질병으로 기생충 5종(응애 등), 진균 3종(노제마 등), 세균성 2종(부저병 등), 바이러스 7종(낭충봉아부패병 등)이다.

 

양봉농가는 2회 이상의 필수 검사를 받게 되는데 응애류는 농가 방문 시 수시로 검사를 할 예정이며, 양봉 전문수의사는 총 10회 이상 농가를 방문해 맞춤형 컨설팅을 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도내 21개 양봉농가 가운데 북부지역 6농가가 컨설팅사업 참여 의사를 밝혔다. 시험소는 다른 양봉 농가에 대해서도 질병 진단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봉수 경기도 북부동물위생시험소장은 “꿀벌 개체 수의 감소는 농업생산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신속 정확한 질병 진단과 더불어 현장 지도를 통해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양봉협회(2022년 3월 기준/월동봉군 피해 현황)에 따르면 감소된 꿀벌 개체 수는 약 40만 봉군, 78억 마리로 연간 피해액은 수천억에 이르며, 꿀벌의 화분 매개로써 경제적 가치는 6조 7천억 원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꿀벌은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단순 꿀의 습득 뿐 아니라 인간이 재배하는 천오백 여 종의 작물 대부분이 꿀벌 덕에 열매를 맺고 있어, 벌이 사라진다면 인류의 존폐가 걸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