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시농업 위해선 지속가능한 토양 탄소, 공동체 활성화, 최소한의 식량자급 필수

경기연구원, '경기도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Ⅱ : 제도 발전 중심으로' 발간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 도시지역에서 농업 활동을 하는 도시농업 참여자가 50만 명 이상인 가운데 도시농업을 지원해 지속가능한 토양 탄소, 공동체 활성화, 최소한의 식량자급 등을 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와 주목된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경기도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Ⅱ : 제도 발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도시농업이란 도시에서 발생하는 모든 농업 활동을 의미하며, 도시지역의 자투리 공간(옥상, 베란다, 골목길, 시민농장)을 활용한 여가 또는 체험적인 농사가 대표적이다. 농촌에서 생계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농업과는 구별된다.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도시농업 현황은 텃밭 면적이 1천12만 9천㎡로 축구장(2만 678㎡) 약 489개 규모이며, 참여자는 174만여 명이다. 경기도는 텃밭 면적 258만 9천㎡, 참여자 51만 3천여 명이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경기도 도시농업에 대해 수도권 일원에서 활동하는 도시농업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 45명에게 향후 과제 등을 물었다.

 

이들은 현장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목적 또는 가치로 56%는 공동체, 24%는 친환경, 16%는 도농 상생을 각각 응답했다.

 

도시농업 친환경 실천에 대한 평가를 보면 긍정 답변(아주 잘됨 11%, 잘되는 편 53%)이 64%에 달했으며, 지역 공동체 활성화 평가도 긍정 답변(아주 잘됨 9%, 잘되는 편 27%)이 36%로 나타났다.

 

반면 거버넌스 활성화 평가는 긍정 답변(아주 잘됨 4%, 잘되는 편 13%)이 17%, 도농 상생 평가는 긍정 답변(아주 잘됨 2%, 잘되는 편 11%)이 13%, 일자리 창출 평가는 긍정 답변(잘되는 편 4%)이 4%에 불과했다.

 

연구원은 도시농업 활성화 전략으로 ▲독일 안더나흐의 ‘식용도시 (edible city)’와 같은 아무나 심고 아무나 수확할 수 있는 농사 공간의 ‘아심아수 도시’(가칭) 운동 전개 ▲도시농업공원의 토양 탄소 등 다양한 모델 개발 ▲도시농업 거버넌스 활성화 및 전국도시농업협의회 등 중간 지원조직 역할 강화와 적극적 시민사회 활동 지원 ▲경기도 장기 탄소중립도시 비전과 도시농업의 지속 관심과 투자 등을 제시했다.

 

이양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도시농업은 탄소중립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사업이지만 그동안 많은 농지 투기로 농지 세제 등 각종 제도가 엄격한 상황”이라며 “경기도 통합조례 제정, 도시농업 공간에 대한 특례법 등으로 도시 내 농지를 확보해 지속가능한 토양 탄소, 공동체 활성화, 최소한의 식량자급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경기도 생산 농축수산물 구입시 최대 20% 할인 지원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가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올 연말까지 경기도 생산 농축수산물을 구입할 경우 누구나 구입 가격의 20%를 할인해주는 사업을 한다. 경기도는 ‘경기도 농수산물 할인쿠폰 지원사업’에 250억 원을 편성한 1회추경예산안이 경기도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들어간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민생경제 어려움 해소와 지역농산물 소비촉진을 위해 ‘경기도 농수산물 할인쿠폰 지원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250억 원을 편성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22일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을 위탁사업자로 지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들어갔다. 할인은 경기도 생산 농산물을 구입하는 모든 사람이며 연말까지 1인당 20%(1인 최대 2만 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할인 혜택 지원 시기는 사업 참여 대형·중소형 마트, 온라인몰, 시군 로컬푸드 직매장, 전통시장 등 참여업체 모집이 완료되는 10월 초가 될 전망이다. 사업 참여 대상 모집 전이지만 경기도농수산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경기도 농수산물 판매처인 마켓경기 이용자는 22일부터 즉시 할인 적용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오프라인에서는 할인행사 안내와 함께 할인된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