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수원시,‘무더위 쉼터’ 경로당·노인복지관 매일 점검

7월 20일부터 경로당 180개소, 노인복지관 6개소 무더위 쉼터로 개방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수원시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5개월 넘게 운영을 중단했던 경로당, 노인복지관을 7월 20일부터 ‘무더위 쉼터’로 개방했다.

 

무더위 쉼터로 문을 연 경로당은 180개소(전체 512개소), 노인복지관은 6개소(서호·SK청솔·버드내·광교·밤밭·팔달노인복지관)다. 개방 경로당은 장안구 49개소, 권선구 76개소, 팔달구 30개소, 영통구 25개소다. 가장 더운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4시간 동안 무더위 쉼터로 운영한다.

 

추후 무더위 쉼터 운영을 원하는 경로당이 있으면 추가로 개방한다.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은 다른 기능은 계속 운영을 중단하고, 무더위 쉼터로만 활용한다.

 

수원시는 개방 경로당, 복지관에 ‘코로나19 예방관리사’를 배치하고, 구·동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1일 1회 이상 현장을 점검할 예정이다. 개방 첫날인 7월 20일에는 수원시, 각 구·동 직원이 모든 무더위 쉼터를 점검하고, 어르신들에게 이용 수칙을 안내했다.

 

무더위 쉼터는 집에 에어컨이 없는 홀몸 어르신, 저소득층 어르신 등 폭염에 대처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어르신이 우선 이용할 수 있다.

 

경로당별로 면적에 따라 이용자가 2m(최소 1m) 거리두기를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정 이용 인원을 산정한 후 이용 인원을 제한한다. 복지관 무더위 쉼터는 하루에 1개소당 60~75명이 이용할 수 있다.

 

수원시는 모든 개방 경로당·복지관에 각각 감염관리책임자(경로당 회장, 복지관장)를 지정했다.

 

무더위 쉼터는 명부를 작성하고,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소독하고, 발열 체크를 한 후 입장할 수 있다.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하고, 취사·식사, 노래 부르기 등은 할 수 없다. 큰 소리로 말하면 안 되고, 다른 어르신과 신체 접촉도 금지된다.

 

박미숙 수원시 노인복지과장은 “무더위 쉼터가 어르신들이 폭염을 피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아직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은 만큼 무더위 쉼터를 이용하는 어르신들은 개인위생수칙, 사회적 거리두기를 빈틈없이 준수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