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성남시 청소년 설문조사 "코로나 19, 답답하고 짜증.. 66.5%"

성남시중원지역청소년센터, 코로나19에 대한 성남시 청소년들의 생각 및 생활실태 조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성남시중원지역청소년센터(센터장 장다교)는 지난 24일 코로나19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및 생활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성남시중원지역청소년센터(이하 청소년센터)에 따르면 14일간(4월 7일 ~ 4월 20일) 총 37개교, 88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했고, 고등학생 148명(16.6%), 중학생 708명(77.7%), 학교 밖 청소년 11명(1.2%)이 응답했다.

 

설문은 코로나19로 청소년에게 필요한 지원, 코로나19 이후 생활형태, 개학 후 우려되는 점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조사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감정은 답답함(44.1%), 짜증(22.4%)에 가장 많은 청소년이 응답했으며, 여가활동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한 활동으로는 유튜브, 페이스북 검색(35.0%)과 게임(32.5%)이라고 응답했다.

 

지난 한 달간 하루 식사 횟수는 평균 2회(44.5%)가 가장 많았으며, 하루 1회 식사 또는 매우 불규칙(12.8%)으로 응답한 청소년도 보였다.

 

청소년들은 개학 후 대중교통 이동시간(39.4%)과 점심시간(34.5%)에 코로나 감염이 우려된다고 응답했으며, 개학 후 가장 걱정되는 것은 학사일정(54.4%), 교과서 진도(18.1%)이며, 청소년에게 가장 시급한 지원은 마스크 지원(55.7%), 학업지원(24.4%)이라고 응답했다.

 

복정 고등학교 김혜연 청소년은 “학교 개학 시기, 방법에 대한 의견을 학부모, 선생님이 아닌 학생들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고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청소년센터는 온라인 개학, 등교 개학 등 계속 변화하는 청소년의 환경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청소년들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이고, 청소년들의 의견을 공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청소년들은 코로나19에도 정상적인 학업, 생활패턴을 유지하기 위해 실천하는 힘(21.1%), 계획세우기(20.9%)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코로나19가 종식되고 나면 가장 하고 싶은 것으로 친구들과 놀기(37.7%), 야외활동(15.5%)이라고 밝혔다.

 

청소년센터 장다교 센터장은 “6년 전 세월호의 아픔을 통해 국가와 정부의 역할에 대해 배웠다면 코로나19를 통해 시민의식의 소중함을 배우고 있다. 청소년들이 위기 상황에서도 길을 잃지 않고 달라진 상황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어른들의 배려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더 자세한 설문 결과는 성남시중원지역청소년센터 홈페이지 (www.snjwyout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반려견과 함께한 친환경 도보 프로그램,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진행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이 주최한 시민참여형 환경정화 프로그램 ‘2025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행사가 지난 11월 2일, 오산시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삼남길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 일원에서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에 모여 반려견 동반 탐방 시 유의사항과 경기옛길에 대한 소개를 들은 뒤, 반려동물 매너 캠페인과 유기견 입양 홍보 시간을 함께 가졌다. 이후 오산천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를 걸으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고, 맑음터 공원에서 단체사진 촬영과 함께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반려인뿐 아니라 비반려인도 함께 참여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며 환경보호의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유기동물 보호 인식 제고의 기회를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도심 속에서도 반려동물과 함께 건강한 산책 문화를 실천할 수 있었고, 경기옛길의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한양과 지방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