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특별기획] 평균적 용인시민 ‘결혼한 대졸의 40세 직장인’

중하층 소속감, 빚내서 산 아파트 거주, 소득·삶 만족도는 보통

 

 

 

【뉴스라이트 = 한경준 기자】 평균적인 용인시민은 대학교를 졸업하고 결혼해서 자기 아파트에 사는 40세 직장인일 것으로 분석됐다.

또 가구당 월평균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을 벌며 평일이나 주말 모두 가끔 바쁜 정도로 지내고 스스로는 중하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는 7일 2019년 사회조사 결과와 주민등록인구 등으로 분석한 평균적인 용인시민 기준) 이같이 요약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 연말 용인시엔 100세 이상 고령자만도 173명이나 있으나 인구수 기준 중간연령은 40세로 나타났다.

또 배우자가 있는 시민이 63.8%였고 시민의 교육 정도는 대학원 졸업 이상이 7.9%이고 대졸이 49.6%나 돼 대졸자가 중간값으로 나왔다.

자기 주택에 사는 시민은 59.7%나 됐으며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67.6%나 됐다. 평균적으로 볼 때 자기 아파트에 살아야 중간에 드는 셈이다.

 

 



용인시민의 53.5%가 부채가 있다고 했는데, 30대는 74.8%, 40대는 70.4%가 부채를 지고 있어서 평균적으로 부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부채를 진 이유로는 74.9%가 주택 임차 또는 구입으로 나타났다. 빚을 얻어 집을 산 시민이 평균에 든다고 할 수 있다.

월평균 가구소득별 분포도는 300만원 미만이 41.4%였고 400만원 이상은 44.2%였다. 중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에 속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내 평균 가구원수가 2.65명인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46.0%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만족 21.5%, 불만족은 32.5%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역시 보통이 48.5%로 가장 많았고 만족 32.9%, 불만족은 18.6%였다.

용인시민의 44.1%가 중하층에 속한다고 했는데, 38.8%가 중상 이상에 속한다고 했고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7%로 나타났다.

또 용인시민의 54.8%가 평소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데, 종사하는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7.8%이고 사무종사자가 17.9%였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반려견과 함께한 친환경 도보 프로그램,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진행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이 주최한 시민참여형 환경정화 프로그램 ‘2025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행사가 지난 11월 2일, 오산시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삼남길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 일원에서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에 모여 반려견 동반 탐방 시 유의사항과 경기옛길에 대한 소개를 들은 뒤, 반려동물 매너 캠페인과 유기견 입양 홍보 시간을 함께 가졌다. 이후 오산천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를 걸으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고, 맑음터 공원에서 단체사진 촬영과 함께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반려인뿐 아니라 비반려인도 함께 참여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며 환경보호의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유기동물 보호 인식 제고의 기회를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도심 속에서도 반려동물과 함께 건강한 산책 문화를 실천할 수 있었고, 경기옛길의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한양과 지방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