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특별기획] 평균적 용인시민 ‘결혼한 대졸의 40세 직장인’

중하층 소속감, 빚내서 산 아파트 거주, 소득·삶 만족도는 보통

 

 

 

【뉴스라이트 = 한경준 기자】 평균적인 용인시민은 대학교를 졸업하고 결혼해서 자기 아파트에 사는 40세 직장인일 것으로 분석됐다.

또 가구당 월평균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을 벌며 평일이나 주말 모두 가끔 바쁜 정도로 지내고 스스로는 중하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는 7일 2019년 사회조사 결과와 주민등록인구 등으로 분석한 평균적인 용인시민 기준) 이같이 요약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 연말 용인시엔 100세 이상 고령자만도 173명이나 있으나 인구수 기준 중간연령은 40세로 나타났다.

또 배우자가 있는 시민이 63.8%였고 시민의 교육 정도는 대학원 졸업 이상이 7.9%이고 대졸이 49.6%나 돼 대졸자가 중간값으로 나왔다.

자기 주택에 사는 시민은 59.7%나 됐으며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67.6%나 됐다. 평균적으로 볼 때 자기 아파트에 살아야 중간에 드는 셈이다.

 

 



용인시민의 53.5%가 부채가 있다고 했는데, 30대는 74.8%, 40대는 70.4%가 부채를 지고 있어서 평균적으로 부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부채를 진 이유로는 74.9%가 주택 임차 또는 구입으로 나타났다. 빚을 얻어 집을 산 시민이 평균에 든다고 할 수 있다.

월평균 가구소득별 분포도는 300만원 미만이 41.4%였고 400만원 이상은 44.2%였다. 중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에 속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관내 평균 가구원수가 2.65명인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46.0%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만족 21.5%, 불만족은 32.5%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역시 보통이 48.5%로 가장 많았고 만족 32.9%, 불만족은 18.6%였다.

용인시민의 44.1%가 중하층에 속한다고 했는데, 38.8%가 중상 이상에 속한다고 했고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7%로 나타났다.

또 용인시민의 54.8%가 평소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데, 종사하는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7.8%이고 사무종사자가 17.9%였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안성시 일죽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르신 건강지팡이 지원사업 추진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일죽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마을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어르신 안전보행을 위한 건강지팡이 지원사업’을 추진해, 지난 9월 2일 관내 만 65세 이상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92가구에 건강지팡이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안성연 민간위원장을 비롯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과 공무원 등 16명이 참여해, 마을별 각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건강지팡이를 전달하고 어르신들의 안부를 확인하며 마음 건강도 함께 살폈다. 안성연 민간위원장은 “보행보조 지팡이가 어르신들의 일상생활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어려운 이웃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송기영 공공위원장(일죽면장)은 “바쁜 일정 속에서도 어르신들에게 진심어린 관심을 갖고 활동해주시는 협의체 위원님들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사업이 보행이 불편한 어르신들의 일상 회복과 사회활동 참여 의지를 높여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죽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이밖에도 ‘복지사각지대 발굴의 날’ 운영과 특화사업을 통해 기존 공적 제도에 지원이 닿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