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연기학원 원장, "감정이 너무 안 나와" 여고생 그루밍 성폭행 의혹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유명 영화인이었던 현직 연기학원 원장이 미성년자 수강생을 1년 동안 지속적으로 그루밍 성폭력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채널A'에 따르면 부산의 한 연기학원 원장인 A씨는 당시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수강생 B씨에게 '표정에서 감정이 안 나온다'며, 따로 불러 집과 모텔 등에서 1년간 그루밍 성폭행을 해왔다고 보도했다.

 

성폭력 피해를 주장하는 수강생 B씨는 “배우는 몸을 바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더라, 원래 배우는 그런 것”이라는 정신적 세뇌를 당해 거부할 수 없었다고 호소했다.

 

이 일로 인해 B씨는 당시 정신과 상담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지만, A원장은 “사랑하는 사이였다”며 성폭행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첫 성폭력은 독립 영화를 찍으면서 벌어졌다. A원장은 B씨의 표정에서 감정이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원장실로 불러 몸을 더듬었다. 당시 ‘불감증인가?’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이후 집과 모텔 등에서 일년 동안 성폭행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B씨는 “다짜고짜 집으로 부르더니 서재로 데리고 가 ‘(옷을) 까’라고 말했다”며, “(처음엔) 놀랐는데  그 사람이 ‘여배우로서 감독이든 매니저든 몸을 바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수없이 말해 정신적으로 세뇌된 상태라 성폭행을 거부하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A원장은 학원 내에서 신적인 존재였다고 전해졌다. 영화계에서 그의 눈 밖에 났다가는 꿈을 이룰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했다고 원생들은 전한다. 

 

그에게 성폭력 피해를 입었다는 수강생은 B씨 뿐만이 아니다. 한 수강생도 원장실로 불려가 “옷을 벗으라”는 명령을 들었다고 폭로했다. 

 

그는 “여기서 옷을 벗어야하냐고 되물으니 원장이 뭐가 부끄럽냐. 서울에서는 이런거 아무 것도 아니다. 연예인들 내 앞에서 옷 다 벗고 티비에서 나온 춤 그대로 춘 적도 있다고 그러더라”라고 설명했다.

 

당시 상황에 대해 원장은 향후 수강생이 연기자가 됐을 때 여러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주장하며, “(연기자가) 조금이라도 신체 노출을 원치 않는다면 연기하기 곤란하다”라며 “맨날 먹고 있고 체형 관리도 안 된 애들 자극을 주기 위한 이유도 있다”고 말했다.

 

원장은 평소 ‘여성 배우의 성상납이 필요하다’는 식의 언급을 자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주조연급으로 (작품에) 꽂아줄테니 (성관계하자는) 제안이 들어오면 어떻게 할래?’ ‘직업으로 삼으려면 (여자가 성관계 해주는 것은) 흔한 일이야’라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지만, A원장은 당시 발언은 농담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해 A원장은 B씨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