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56회 수원화성문화제, "규모는 줄었지만, 내용은 알찼다"

수원화성문화제, 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산 방지위해 대폭 축소 개최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가 시민 참여 이끌어
시민 기부금, 시민 참여 프로그램 제작·사회공헌퍼레이드에 사용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제56회 수원화성문화제가 4일간 여정을 마무리하고 6일 막을 내렸다.

 

‘인인화락(人人和樂), 여민동락의 길’을 주제로 3~6일 수원화성 일원에서 열린 올해 수원화성문화제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태풍 ‘미탁’의 여파로 프로그램이 취소돼 축소 개최됐다.

 

 

 

 

수원화성문화제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정조대왕능행차 재현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경기도와 수원시·화성시가 추진하는 구간을 전면 취소했고, 3일 저녁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개막 공연 ‘품’도 취소됐다.

 

정조대왕능행차 재현과 개막연은 열리지 못했지만 다른 프로그램은 예정대로 진행됐다. 3~6일, 축제가 열린 수원화성 일원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수원화성문화제는 3일 오전 10시 여민각 개막 타종으로 시작됐다.

 

타종을 한 염태영 수원시장은 “정조대왕능행차 재현이 취소되고, 축제가 축소됐지만,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원회와 시민들께서 정성껏 준비해주신 프로그램은 진행된다”며 “관람객들이 많이 모이는 행사마다 방역에 최선을 다해 안전하게 축제가 마무리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수원화성문화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시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즐기는 ‘시민 중심 축제’로 진행됐다. 

 

지난해 출범한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원회는 축제 기획부터 운영까지 전반을 책임지며 시민 참여를 이끄는 역할을 했다.

 

올해도 수원화성문화제 추진위원회가 제안한 사업, 시민 공모로 선정한 프로그램 등 10개가 넘는 시민참여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원회는 ‘제56회 수원화성문화제 범시민참여 기부캠페인’을 전개해 모금된 기부금을 시민 프로그램과 사회공헌 퍼레이드 등에 사용했다.

 

축제 기간 내내 행궁광장, 장안공원, 수원천, 화홍문 일원에서는 ‘조선핫플레이스’, ‘행궁오락관’, 수원화성축성체험, 수원화성 지도 그리기 등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돼 가족 단위 관람객들의 발길을 끌었다.

 

 

 

 

4~5일 저녁에는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미디어아트 진찬연 ‘한중록 1795’가 열렸다.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을 바탕으로 봉수당에서 열렸던 진찬연을 새로운 방식의 가무악극으로 꾸몄다. 가무악과 어우러지는 화려한 미디아아트(매체 예술)를 선보였다.

 

 

 

 

또 4~5일 저녁 화성행궁 유여택에서 ‘정조실감 토크콘서트’가 진행됐다. 4일에는 역사강사 최태성씨, 5일에는 김준혁 한신대 교수가 정조대왕과 수원화성 축성, 을묘년 원행을 주제로 시민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5일 저녁에는 행궁광장 무대에서 ‘국제자매도시의 밤’ 행사가 열렸다. 수원시 국제자매도시의 전통공연단이 각 나라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다채로운 무대를 꾸몄다.

 

 

 

 

6일에는 화성행궁 신풍루에서 장용영 수위의식이, 장안문에서 장안사거리 행궁광장에 이르는 구간에서는 ‘시민 퍼레이드’가 열렸다. 

 

시민퍼레이드는 시민경연 퍼레이드, 연합풍물단·한복퍼레이드, 사회공헌 퍼레이드, 거리공연 퍼레이드 등으로 진행됐다.

 

 

 

 

수원화성문화제는 6일 연무대 일원에서 열린 무예 브랜드 공연 ‘야조(夜操)’로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행정안전부, 올봄, 어디로 갈지 고민이라면 행정안전부가 추천하는 봄섬으로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행정안전부는 봄을 맞아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섬 5곳을 ‘찾아가고 싶은 봄섬’으로 선정했다. 지난 2022년부터 행정안전부는 섬 연구기관인 한국섬진흥원과 함께 각 섬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색을 알리기 위해 계절마다 ‘찾아가고 싶은 섬’을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봄섬 9곳, 여름섬 15곳, 가을섬 9곳 등 총 33개의 섬을 소개했다. 올해 ‘찾아가고 싶은 봄섬’은 봄을 맞아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장봉도(인천 옹진군), 반월도·박지도(전남 신안군), 하화도(전남 여수시), 관매도(전남 진도군), 한산도(경남 통영시) 등 5곳이 선정됐다. 먼저, 수도권에서도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는 장봉도(인천 옹진군)는 해안을 따라 봄기운을 느끼며 걷기 좋은 섬이다. ‘봉우리가 길게 늘어선 섬’이라는 이름과 같이 해안을 따라 도보여행(트래킹) 하기 좋은 코스가 정비되어 있다. 특히, 해안을 걸으면서 파도, 조류, 해류 등 침식으로 깎여 형성된 절벽인 해식애의 절경도 즐길 수 있다. ‘퍼플섬’이라는 이름이 더 익숙한 반월도·박지도(전남 신안군)는 라일락꽃과 함께 보랏빛을 즐기기 좋은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