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수원미디어센터, 선행초교와 교과 연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첫발 내딛어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수원문화재단 미디어센터는 수원 선행초등학교와 함께 학교 교과 연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이번 교육은 수원미디어센터가 2019년부터 연구・개발한 커리큘럼 '슬기로운 유튜브생활'을 적용해 지난 9월 7일부터 오는 10월 20일까지 선행초등학교 5학년 111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진행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들이 건강한 유튜브 시청을 위한 방법을 찾고 친구들의 경험을 들으며 공통점과 다양성을 비교해 느낀 점을 소개하는 유튜브 사용설명서 영상을 제작해 보는 수업이다.


특히, 선행초등학교 교직원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함으로써 학교와 지역 미디어센터가 협력한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운영의 선례를 남겼다. 코로나19로 청소년의 유튜브 사용에 고민이 깊어진 학교와 학부모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재단 관계자는 “센터가 직접 연구・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커리큘럼을 지역 내 학교와 연계하여 적용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동안 사회 미디어 교육에 힘써오던 지역 미디어센터가 학교 교과 과정 내에서 미디어 교육을 운영하는 사례의 신호탄을 수원미디어센터가 쏘아 올렸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교사 연수 등 지속적인 연계 및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지역 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에 힘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슬기로운 유튜브생활'은 아이들의 유튜브 시청 경험을 공유하고 유튜브 정책 윤리적인 사용법을 알아보며, 또래에게 소개할 유튜브 사용설명서를 제작해봄으로써 디지털시대에 핵심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