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흥시, 선제적 조사로 열악한 주거 환경 아동 발굴...복지 연결까지

“지역사회 관심 가장 중요해”

 

【뉴스라이트 = 이양지 기자】 시흥시가 선제적인 복지 사각지대 발굴 활동을 통해, 열악한 주거환경에 방치됐던 아동들을 발굴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며 지역사회 관심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시흥시 정왕본동 맞춤형복지팀은 지난해 만 3세부터 만 6세 가정 보호 아동 전수조사를 진행해 왔다.


정부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만 3세까지의 아동이 대상이어서 3세 이상부터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아동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11일에는 쓰레기 집에 방치된 삼 남매 사례를 발굴하고 시흥시 아동보호팀, 드림스타트팀 등 각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복지서비스를 연계하기도 했다.


해당 가정에는 부모와 4살, 3살, 한 달된 막내까지 다섯 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주방에는 온갖 쓰레기가 싱크대보다 높이 가득 쌓여 있었고, 화장실에는 쓰고 버린 휴지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삼 남매 중 4살 3살 된 자녀들은 열악한 환경에 방치된 데다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해 언어 습득에도 문제가 있었고, 태어난 지 한 달된 막내까지 온갖 쓰레기 더미에 그대로 노출돼 있었다.


정왕본동 맞춤형복지팀과 경기행복마을관리소는 사례 발굴 즉시 거주지 청소를 통해 환경을 정비했다. 시흥시 아동보호팀은 현장 출동해 거주환경을 면밀히 살피고 자녀 면담을 통해 아동학대 여부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다행히 조사 결과, 자녀와 부모 간 애착관계가 잘 형성돼 있고, 아동 학대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첫째와 둘째는 언어 습득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나 시흥시 드림스타트팀과의 협업으로 아이들이 언어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더불어 거주지 월세를 제대로 내지 못할 정도로 생활고에 시달렸던 해당 가족이 기초생활수급(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고, 현재는 아이들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주 1회 반찬배달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다.


정왕본동 맞춤형복지팀 관계자는 ‘선제적 사례 발굴’와 ‘지역사회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흥시 각 동에 배치돼 있는 맞춤형복지팀과 경기도 최초로 설치된 아동보호팀, 노인복지팀 등 부서 간 협업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아이부터, 혼자 생활하며 생활고에 시달리는 어르신까지 최대한 발굴해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의 관심이다. 내 주위 이웃에 관심을 갖고, 의심되는 상황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동행정복지센터로 연락해 달라”고 덧붙였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반려견과 함께한 친환경 도보 프로그램,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진행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이 주최한 시민참여형 환경정화 프로그램 ‘2025 경기옛길 더하기, 환경 투개더’ 2회차 행사가 지난 11월 2일, 오산시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삼남길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 일원에서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에 모여 반려견 동반 탐방 시 유의사항과 경기옛길에 대한 소개를 들은 뒤, 반려동물 매너 캠페인과 유기견 입양 홍보 시간을 함께 가졌다. 이후 오산천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를 걸으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고, 맑음터 공원에서 단체사진 촬영과 함께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반려인뿐 아니라 비반려인도 함께 참여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며 환경보호의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오산시 반려동물 테마파크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유기동물 보호 인식 제고의 기회를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도심 속에서도 반려동물과 함께 건강한 산책 문화를 실천할 수 있었고, 경기옛길의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한양과 지방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