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9구급차·소방헬기 병원성 세균으로부터 '안전'

구급차 303대·소방헬기 2대에서 황색포도알균 등 병원성 세균 4종 '불검출'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보유한 모든 119구급차와 소방헬기가 병원성 세균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최근 한 달간 전문업체에 의뢰해 도내 36개 소방서 보유 구급차 303대와 특수대응단 보유 소방헬기 2대에 대해 병원성 세균 오염실태 검사를 실시했다.

 

구급차와 헬기 내 기도유지 물품, 호흡관련 물품, 순환관련 물품, 환자실, 운전석 등 대당 5종 1,525점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황색포도알균,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폐렴간균,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등 4종의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황색포도알균은 식중독과 중이염, 방광염 등 질환을 일으키며,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노약자에게 치명적인 세균이다. 장구균은 노약자에게 요로감염 등 각종 감염증을 유발하는 원인균이다.

 

경기소방은 지난 2018년부터 전 소방관서가 보유한 모든 구급차를 대상으로 이 같은 세균 오염실태 전수검사를 매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질병환자와 외상환자가 이용하는 구급차와 소방헬기는 혈액이나 의료폐기물 등을 통해 병원균을 전파하는 감염원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도민들의 2차 감염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경기소방은 구급차 내 세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구급차가 배치된 출동대에 자체적으로 감염관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 소독기기를 이용해 구급장비를 소독하고 있다.

 

특히 들것 등 탈부착이 어려워 감염관리실 기기 활용이 불가한 장비는 소방청의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준수하고 있다.

 

전용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구조구급과장은 “검사 결과 경기소방의 구급차와 소방헬기 세균 감염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체계적인 감염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구급대원이 보다 위생지침을 철저히 지켜 경기도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구급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