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교육연구원, ‘MZ 세대’교사는 다를까?

이전 세대 교원과 비교를 통한 ?MZ?세대 교사의 특성 연구

 

【뉴스라이트 = 한경준 기자】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박정일)은 학교 맥락에서 나타나는 ‘MZ 세대’ 교사의 특성을 파악하고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MZ 세대’ 교사의 특성 연구'(연구책임자 부연구위원 구하라)를 발간했다.


본 연구는 교원 세대 간 비교를 통해 ‘MZ 세대’ 교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중·고등학교 교원 1,0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이 다소 높고 공동체 의식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 교사 간에 다른 패턴이 발견됐는데, ‘밀레니얼 세대’ 교사가 여러 세대 중에서 개인주의 성향이 가장 높고 공동체 의식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원들은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보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교직 선택 동기’에서도 확인됐는데 ‘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에 비해 교직 선택 동기로서 ‘방학이 있어서’와‘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기 좋은 직업이어서’에 높게 응답했다.


한편‘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에 비해 ‘교직과의 관련성 여부를 떠나 폭넓게 자기 계발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제 이 계발 활동에 더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보다‘교직 이외 다른 직종으로 이직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년차 교사 시절 목표로 한 직위’에 대해 ‘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보다 ‘평교사’를 더 적게 희망한 반면 ‘관리직’, ‘전문직’,‘수석교사’등을 더 많이 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마지막으로‘MZ 세대’ 교사는 이전 세대 교사와 비교하여 원격수업 역량(원격수업 도구 및 기술 활용, 원격수업 자료 제작, 학생들과 온라인 소통)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Z 세대’ 교사는 다른 세대에 비해 신규 교사로 입직하여 적응할 때‘온라인 활동’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도 응답했다.


요약하면 ‘MZ 세대’ 교사는 개인주의 성향이 다소 높고 공동체 의식이 낮은 편이며,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교직 안팎에서 전문성을 계발하고 성장하기를 추구하며, 높은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MZ 세대’ 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에서는 첫째, 학교 구성원의 공동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교원 세대 간 특성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MZ 세대’교사의 학습 특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기반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하고 그 형태(시간 축소 등)와 내용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MZ 세대’ 교사의 뛰어난 원격수업 역량이나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학습 방식에 주목하여 ‘MZ 세대’ 교사의 강점과 전문성이 다른 세대 교사에게 공유될 수 있는 세대 간 상호학습 기회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MZ 세대’교사들의 자기 계발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주제를 다채롭게 구성하고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를 강사로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관세청, 5월 1일, 여행자휴대품 신고서 작성의무 폐지됩니다
 【뉴스라이트 = 윤채이 기자】 3.29일 개최된 대통령 주재 「제15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내수활성화 대책」이 논의된 결과, 관세청은 외국인의 방한관광 활성화 등을 위해 ‘여행자 휴대품 신고서’ 작성의무 폐지 시기를 기존 7월에서 오는 5월 1일로 앞당기기로 했다. 관세청은 지난 3.2일 국무총리 주재 「제3차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그간 ‘모든 입국자’에게 부과됐던 ‘휴대품 신고서’ 작성의무를 폐지하고 세관 신고물품이 있는 입국자에 한해서만 온라인(또는 종이) 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안을 7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간 통계를 보면, 100명의 내외국인 입국자 중 99명은 세관에 신고할 물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여행자 휴대품 신고서’를 작성하고 입국 시 이를 세관에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입국자의 편의 제고와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 차원에서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 제기되어 왔다. 또한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들도 ‘신고물품’을 소지한 입국자에게만 신고서 작성/제출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신고물품이 없는 대다수 입국자의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보이며, 입국 편의 향상에 따른 외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