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천시, 2023년 기준 소상공인 통계 공표

전체 사업체 中 소상공인 91.6% 차지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2023년 기준 인천 소상공인통계'결과를 인천시 누리집 인천데이터포털을 통해 공표했다고 밝혔다.

 

소상공인 통계는 202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인천시 관내 소상공인의 사업체 규모, 매출, 고용, 업종별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지역통계다.

 

이번 통계는 경인지방통계청과 협업해 작성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통계데이터센터를 활용하여 기업통계등록부*와 인천시 내부 자료(인천사랑상품권, 인천신용보증 융자지원 사업체 현황 등)를 연계함으로써 지역 특성을 반영했다.

 

통계 결과, 2023년 기준 인천시 소상공인 수는 32만 5,827개로 전체 사업체의 91.6%를 차지하며 지역경제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는 2022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소상공인의 종사자 수는 16만 1,352명으로 2022년 대비 1.0% 감소했으며, 매출액은 68조 640억 원으로 2022년 대비 1.3% 증가했다.

 

2023년 기준 소상공인의 생존율은 1년 79.4%, 3년 58.2%, 5년 45.3%로 나타났다.

 

같은 해 신규 창업한 소상공인 사업체는 7만 1,236개로 창업률은 21.9%였으며, 폐업한 사업체는 5만 3,466개로 폐업률은 14.1%를 기록했다.

 

폐업 사유 중에는 ‘사업 부진’이 5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소상공인 중 생활밀접업종* 사업체 수는 14만 5,920개로 전체의 44.8%를 차지했으며, 2022년 대비 6.2% 증가했다.

 

종사자 수는 43,919명으로 2022년 대비 0.6% 감소했으며, 매출액은 19조 1,319억 원으로 2022년 대비 4.6% 늘어났다.

 

 

생활밀접업종의 창업사업체 생존율은 1년 77.1%, 3년 53.2%, 5년 40.1%로 소상공인 평균보다 낮았다.

 

같은 해 신규 사업체는 4만 1,545개로 창업률이 28.5%에 달했으며, 폐업한 사업체는 3만 2,179개로 폐업률은 18.1%였다.

 

창업률과 폐업률 모두 소상공인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인천시 소상공인의 전반적 현황과 추세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창업 초기 소상공인의 안정적 정착 지원과 업종별·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준호 시 정책기획관은 “이번 소상공인 통계는 다양한 행정자료를 연계해 체계적으로 작성된 자료”로, “소상공인 지원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