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 ‘기후테크 컨퍼런스’ 성료. 투자상담 448억 원 성과

2일간 1,600명 참여, 414개 기업, 35건 투자상담 448억 원 규모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는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경기융합타운(경기신용보증재단)에서 열린 ‘2025 경기도 기후테크 컨퍼런스’가 총 1,6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기후경제시대, 지금이 기후테크에 투자할 시간’을 주제로 국내외 기후테크 기업 414개 사, 투자사, 글로벌 기관 등이 참석해 기후경제 전환을 위한 투자 및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행사 기간 35건의 투자 상담(약 448억 원 규모)이 이뤄지는 성과를 거두며 기후테크 투자와 협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24일 개막식에서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업이 마음껏 도전하고 성장하는 ‘기후테크 플레이그라운드’를 만들기 위한 기후테크 3대 비전을 발표했고, 경기도·정부·대기업·투자사 등 20개 기관이 참여한 ‘경기도 기후테크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

 

해외에서는 미국 하와이주 크리스 리 상원의원, 독일 게오르크 슈미트 대사, 이탈리아 에밀리아 가토 대사, 덴마크 미카엘 빈터 대사, 주한영국상공회의소 루신다 워커 대표와 글로벌 투자사,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 등이 참여해 경기도 기후테크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미국 워싱턴주 밥 퍼거슨 주지사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영상 축사를 보내오며, 경기도와의 기후협력 의지를 전했다.

 

전국 대상 실증이 가능한 아이디어 공모인 기후테크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트라이매스는 트로피와 상금 500만 원을 수상했다. 트라이매스는 축산분뇨를 활용해 세계 최초 무탄소 클링커 시멘트 생산과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이 외에도 ▲우수상 (주)나인와트 ▲장려상 (주)스튜디어 다시물결 ▲입상 (주)에이트테크, (주)마이셀, (주)리필, 올인카본(주) 등 총 7개 사가 수상했다.

 

다른 경연인 탄소중립펀드 투자유치 피칭데이 최우수상은 초기리그에서 (주)저크, 도약리그에서 (주)스트라티오코리아가 각각 수상했다. (주)저크는 에너지 사용 없이 표면과 공간을 냉각하는 복사냉각 페인트 기업이며, (주)스트라티오코리아는 적외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폐기물 재활용 소재 정밀구분 기술 기업이다. 이 외에도 ▲우수상 (주)누빈다, ㈜티엔에이치텍 ▲장려상 (주)플랜트너, ㈜벨베이비 등 총 6개사가 수상했다.

 

변상기 경기도 기후환경정책과장은 “이번 기후테크 컨퍼런스로 도내 우수한 기후테크 기업을 국내외에 알리고 협력과 투자 기회를 확대했으며, 기후테크 투자와 성장전략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나눴다”며 “내년에 설치될 기후테크센터와 함께 기후테크 혁신을 통해 경기도가 기후경제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협력과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