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찾아가는 프로그램 실시

교육현장의 인권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학생 인권보호 및
행복한 학교교육 실현

 

【뉴스라이트 = 이양지 기자】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은 2025년 6월부터 시흥 관내 학교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찾아가는 성교육 및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관내 37개 학교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올바른 성 가치관 형성과 더불어 사회적 기술 및 대인관계 능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은 ‘너의 몸은 너의 것이야!’, ‘넘사벽 뛰어넘기!’를 주제로 하여 신체적 변화, 경계 존중 교육, 사적·공적 공간 구분 등 성교육과 함께 진행된다.

 

또한 일반학생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함께하는 장애인스포츠 체육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고 친밀한 분위기 속에서 학교폭력 예방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기회를 갖고, 장애인권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에 참여한 한 통합학급 교사는 “장애라는 용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다양성을 주제로 한 체육활동이 학교폭력 예방 교육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며, “앞으로 이러한 교육 기회가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채열희 시흥교육지원청 교육장은 “이번 찾아가는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보호 역량을 기르고 상호 친밀감을 형성하길 기대한다”며, “장애학생은 다양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고, 일반학생은 장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함으로써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시흥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앞으로도 장애인권교육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