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추석 황금연휴에 인천 박물관 나들이 어떠세요?

인천시립박물관 및 분관, 다채로운 전시와 체험으로 연휴 즐길 거리 제공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기나긴 이번 추석 연휴, 황금 같은 시간을 어디서 보낼지 고민이라면 인천의 박물관 나들이는 어떨까.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은 추석 연휴에도 본관과 4개 분관을 모두 정상 개관해 시민들을 맞이한다고 밝혔다.

 

시립박물관 본관, 송암미술관, 검단선사박물관, 한국이민사박물관, 인천도시역사관에서 각각 준비한 개성 있는 전시와 체험을 통해 가족·연인·친구와 함께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시립박물관 본관에서는 인천상륙작전 75주년을 기념해 '마거리트 히긴스'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종군 기자의 전설’이라 불리는 히긴스의 업적과 생애를 국내 최초로 조명한 전시로서, 인천상륙작전을 시작으로 한국전쟁 전반을 종군 취재한 그의 불꽃 같았던 삶을 느껴볼 수 있다.

 

전시 기간에는 인천 대표 스페셜티 카페 ‘크로마이트커피’와 협업 이벤트도 진행돼 특별전 리플릿을 지참하면 커피를 10% 할인받을 수 있다. 전시는 10월 19일까지 이어진다.

 

송암미술관에서는 2025년 특별전 '부채, 세 가지 바람'이 진행 중이다.

 

더위를 식히거나 불을 피우는 실용적인 용도에서 상류층의 예술품에 이르기까지 부채에 담긴 삶과 이상을 선보인다.

 

다양한 모양의 부채와 선면화(扇面畵·부채 위에 그린 그림), 병풍 등을 관람할 수 있으며 부채에 직접 그림을 그려보는 체험도 마련했다.

 

또한 새롭게 개편된 2층 상설전시실에서 보물 제1997호로 지정된 ‘평양성도’ 또한 만나볼 수 있다.

 

특별전은 12월 14일까지 계속된다.

 

검단선사박물관은 어린이 특별 체험전 '구석구석, 유물이의 세상 나들이'를 운영한다.

 

선사시대 유물의 발굴부터 전시까지의 과정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체험할 수 있으며, 특히 유물 모형과 보존 용품을 실제로 만져보는 박물관 직업 체험이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동시에 1층 상설전시실 내부 코너에 마련된 작은 전시 '한올 한올, 자리를 엮다 – 고드래이야기' 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인천도시역사관은 광복 80주년 기념해 작가전 '되찾은 조국에서 SMILE AGAIN' 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인천 출신으로서 국내 그라피티 작가 1세대로 활동 중인 레오다브(LEODAV)가 재창조한 독립운동가들을 그라피티 작업으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10월 9일 한글날에는 초등학생 동반 가족을 대상으로 한 그라피티 체험도 운영된다.

 

체험 신청은 9월 30일까지, 전시는 11월 2일까지다.

 

김태익 시 시립박물관장은 “최대 열흘에 달하는 이번 추석 연휴를 어떻게 보낼지 고민하는 시민분들에게 박물관 나들이를 추천한다”며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전시들이 시민들에게 풍성한 문화적 즐거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립박물관과 분관들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휴관 없이 정상 운영하며,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