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착한소비' 경기도 배달특급, 27개 시·군서 누적 거래 700억 돌파

600억 돌파 이후 약 3주 만에 700억 넘어서…100억 주기 단축 中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총 누적 거래액 700억 원을 돌파했다. 지난달 19일 600억 원을 넘긴 지 약 3주 만에 이룬 성과다.

 

경기도주식회사는 지난 11일 기준 배달특급 누적 거래액이 700억 원을 넘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1일 서비스 개시 이후 3개월 만에 100억 원을 돌파한 뒤 올해 ▲5월 14일 200억 원 ▲6월 28일 300억 원 ▲7월 27일 400억 원 ▲8월 26일 500억 원 ▲9월 19일 600억 원을 기록하며 100억 돌파 주기를 점차 단축하고 있다.

 

이 같은 성장세를 기록할 수 있는 배경에는 제5차 재난지원금 사용처에 공공배달앱이 포함된 점과 정부의 비대면 외식쿠폰 사업, 서비스 지역 확대, 소비자 프로모션 등이 거래액 상승 이유로 꼽힌다.

 

지난달 말 추석 명절을 맞이해 시즌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배달특급을 이용해 정부의 다양한 지원 혜택을 사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속적인 서비스 지역 확대에 따른 신규 회원 확보, 가맹점 입점 확대 등도 큰 힘을 보태면서 성공적으로 시장에 자리 잡고 있다. 현재 배달특급은 도내 27개 지자체에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으며 약 57만 명의 회원과 4만여 개 가맹점이 함께 하고 있다. 누적 주문은 276만 건을 넘었다.

 

올해 총 30개 지자체에서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도록 권역을 넓혀갈 방침이며, 더 많은 혜택을 준비하기 위해 지자체와의 프로모션 및 프랜차이즈 확대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여기에 7월부터 시범운영 중인 다회용기 사업을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착한소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상생 플랫폼’으로서의 브랜딩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이석훈 경기도주식회사 대표이사는 “소비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 위해 노력한 결과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공공배달앱의 역할과 의미를 다 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조용은 기자

뉴스라이트 대표 기자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