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틀 간의 ‘폭염’ 속 버디 15개 ‘폭발’ 박정훈, ‘KPGA 챌린지투어 13회 대회’서 프로 데뷔 첫 승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박정훈(19.종근당)이 2025 시즌 ‘KPGA 챌린지투어 13회 대회(총상금 1억 원, 우승상금 2천만 원)’에서 프로 데뷔 첫 승을 달성했다.

 

28일과 29일 양일 간 전북 군산 소재 군산CC 전주, 익산 코스(파71. 7,143야드)에서 열린 대회 첫째 날 박정훈은 보기 없이 버디 5개를 잡아내 5언더파 66타로 공동 17위에 자리했다.

 

대회 최종일 박정훈의 기세는 매서웠다. 1번홀(파4)부터 버디를 잡아내며 전반에만 버디 4개로 4타를 줄인 박정훈은 12번홀(파4)에서 또 한 번 버디를 추가했다. 압권은 14번홀(파5)부터였다. 박정훈은 14번홀부터 18번홀(파4)까지 5개 홀 연속 버디를 뽑아냈다.

 

이날만 10타를 줄인 박정훈은 최종합계 15언더파 127타를 기록하며 2위 박도형(32)을 1타 차로 제치고 프로 데뷔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이틀 간 박정훈이 잡아낸 버디는 무려 15개로 보기는 단 1개도 나오지 않았다.

 

우승 후 박정훈은 “오늘 모든 플레이가 공략한대로 잘 풀린 것 같다”며 “특히 아이언샷과 쇼트게임에서 정확하게 공략한 위치로 잘 떨어뜨렸다. 퍼트도 잘 따라주며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우승하게 돼 기쁘다. 가장 먼저 응원해주시는 부모님과 아낌없는 후원해주시는 종근당 이장한 회장님과 임직원 여러분, 좋은 결과 이끌어 주신 LK아카데미 이길희 프로님, 유비매니지먼트 관계자 분들께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박정훈은 8세에 골프에 입문했다. 박정훈은 “초등학교 1학년 때 장난감 골프채로 재미를 느껴 자연스럽게 골프를 시작하게 됐다”며 “부모님의 반대는 없었다. 혼자서 배우고 대회에 출전하다 중학교 3학년 때 아카데미에 들어가며 본격적으로 선수 준비를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박정훈은 2023년과 2025년에 국가 상비군으로 활동했고 2024년은 국가대표로 태극마크를 가슴에 달았다. 2024년 ‘제23회 제주특별자치도지사배 아마추어골프선수권대회’와 ‘제21회 네이버스 트로피 팀 챔피언십’에서 정상에 오른 바 있다.

 

박정훈은 올 시즌 아마추어 신분으로 KPGA 챌린지투어 무대에서 뛰기 시작했다. 꾸준한 활약을 펼치며 4월에는 KPGA 프로(준회원), 6월에는 KPGA 투어프로(정회원) 자격을 취득했다. 6월 KPGA 투어 ‘백송홀딩스-아시아드CC 부산오픈’에서는 예선전을 통과해 본선에 나섰고 공동 24위로 대회를 마쳤다.

 

박정훈의 올 시즌 바람은 2026 시즌 KPGA 투어 시드를 확보하는 것이다.

 

박정훈은 “챌린지투어 통합포인트 10위 내로 시즌을 마치는 것이 목표다. 이번 대회 우승으로 어느 정도 안정권에 들어온 것 같다”며 “통합포인트 1위까지 오르고 싶다. 아직까지 다승자도 없는데 올 시즌 첫 다승 기록도 노려보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박정훈의 뒤를 이어 박도형이 최종합계 14언더파 128타로 2위, 그리고 김영웅(27), 송태훈(24), 김상현(31.LK엔지니어링)이 최종합계 13언더파 129타로 공동 3위 그룹을 형성했다.

 

한편 현재 KPGA 챌린지투어 통합포인트와 상금순위 부문에서는 양희준(25)이 각각 57,677.13포인트, 58,683,981원으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박정훈은 4위에 자리하고 있다.

 

‘KPGA 챌린지투어 14회 대회’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 간 같은 장소에서 펼쳐진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제2회 재인청축제’, 시민의 열기 속에 성황리 마무리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오산의 문화적 뿌리이자 전통예술의 원형인 ‘재인청(才人廳)’의 정신을 시민의 힘으로 되살린 ‘오산, 제2회 재인청축제’가 26일 오산 고인돌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경기재인청보존회가 주최·주관하고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번 축제는 오전부터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한때 비로 중단 위기를 겪었지만 공연 시작과 함께 날씨가 개면서 4~500명의 시민이 다시 모여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부 무대에는 장구 공연 ‘호, 따닥쿵덕’, 사물놀이팀 ‘딴따라즈’, 통기타팀 ‘유니언’, 힙합 ‘스트릿키드’, 민요 ‘서미지’, 비보이 ‘THE D.U.O’, 창극단 ‘재담소리 예술단’, 태권도 시범단 ‘무진 태권도’ 등이 출연해 지역 예술의 활력을 보여줬다. 2부에서는 오산국악협회 취타대의 행진을 시작으로, 국립창극단 명창 최호성, 윤미라무용단, 가수 강태관, 연희집단 The 광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국 수준의 전통공연예술을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캘리그라피, 시화전, 전통놀이, 팔찌·장구 만들기, 타로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큰 호응을 얻었다. 가람국악예술원의 주

포토갤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