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개천절이 뭐예요?" 알고는 있는데... 개천절(開天節)의 뜻이 뭐지?

 

【뉴스라이트 = 조용은 기자】

우리 모두에게 공휴일은 신나는 날이지만, 이 날이 왜 국경일로 지정이 되었는지 한번쯤은 되새길 필요가 있지 않을까.

쉽게 말해 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건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이다.

개천절의 뜻은 10월 3일(서기전 2333년,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고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개천절(開天節) 즉 하늘이 열린 날'이라고 제정되었다.

고조선(古朝鮮)은 BC 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이다.

'삼국유사'를 쓴 일연(一然)이 단군신화에 나오는 조선(朝鮮)을 위만조선(衛滿朝鮮)과 구분하려는 의도에서 고조선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다.
그 후로도 이성계(李成桂)가 세운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는 명칭은 널리 쓰였다.

고조선의 건국시기는 기원전 2333년 전으로 전해진다.

고조선이 처음 역사서에 등장한 시지는 7원전 7세기 초인데 이 무렵에 기록된 바로는 조선은 대체로 랴오허[遼河] 유역에서 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성장한 여러 지역집단을 통칭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단군신화는 고조선을 세운 중심집단의 '시조설화(始祖說話)' 형식으로 만들어졌다가, 후에 고조선 국가 전체의 건국설화로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개천절은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됐다.

개천절이 시작된 것은 국조단군을 모시는 대종교에서 1900년 1월 15일 교문(敎門)을 다시 열면서 단군조선을 건국하였음을 기리는 날로 정하여 경하식을 거행하는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당시의 개천절 행사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했던 식민지배하에서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데 큰 힘이 되었다.

상해임시정부에서도 이날을 국경일로 정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정부가 계승하여 음력 10월 3일에 지내던 행사를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지금의 개천절이 되었다.

그러나 10월 3일 개천절은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환웅(桓雄)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상원 갑자년(上元甲子年: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게 더욱 타당성이 있다고도 한다.

 

 

오늘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 아이들과 함께 국내 단군 유적지를 둘러보고 우리가 사는 '나라 탄생'의 뜻을 기린다면 뜻깊은 휴일이 되지 않을까.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광주시문화재단, 2025 광주시 생활문화축제 Let`s Come Together 개최
【뉴스라이트 = 김정민 기자】 (재)광주시문화재단은 오는 11월 8일 광주시 동호회들이 함께하는 ‘2025 광주시 생활문화축제’를 광주시문화예술의전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Let’s Come Together’를 주제로, 광남·만선·고산·신현 생활문화센터에 등록해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 동호회가 참여해 공연·전시·체험 등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시민 참여형 축제로 진행된다. ‘2025년 광주시 생활문화축제’는 광주시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동호회 약 서른 팀이 함께하는 뜻깊은 행사로 다양한 공연 장르(연극, 음악, 댄스, 퍼포먼스 등)를 비롯하여 미술, 공예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는 동호회들의 작품을 광주시문화예술의전당(맹사성홀, 갤러리2)에서 만날 수 있다. 전시 프로그램 11월 4일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더불어, 광주시 생활문화센터가 자체 운영하는 클래스 가운데 이번 행사와 연계해 기획한 참여형 프로그램(뜨개, 원예 등)의 결과물도 전시·체험 중심으로 선보인다. 아울러 동호회가 직접 진행하는 보드게임, 싱잉볼 등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인 광주시민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광주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