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림동 여경' 동영상, 뭐가 문제길래 며칠째 갑론을박?!

 

 

【뉴스라이트 = 김정민 기자】 지난 15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포털사이트에는 ‘대림동 경찰관 폭행사건’이라는 제목으로 영상과 움직이는 사진 등이 게재됐다.

 

영상을 보면 13일 오후 10시쯤 술에 취한 것으로 추정되는 두 명의 남성이 신고를 받고 출동한 남녀 경찰과 맞서 있다.

 

그 중 취객 A 씨가 갑자기 남성 경찰의 뺨을 때리자, 남성 경찰은 즉각 그 남성의 오른팔을 잡아 꺾고 길바닥에 눕혀서 제압한다.

 

이 때 옆에 있던 다른 취객  B 씨가 남성 경찰의 체포 행위를 방해하기 시작한다.

 

여성 경찰이 남성 경찰을 도우려 하지만, 취객  B 씨는 한 손으로 여성 경찰을 밀쳐내고 A 씨를 제압하던 남성 경찰의 목덜미를 잡아끄는 장면만 편집되어 퍼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여성 경찰의 어설픈 대응에 "여자 경찰은 도대체 왜 뽑냐", "이러니 남자 경찰들이 여경하고 순찰하기 싫다고 하지" 등의 비판적인 반응이 줄을 이으며, '여경 불필요론'이 청와대 청원까지 올랐다.

 

논란이 확산되자 경찰은 "편집된 동영상은 사실과 다르다"며, 1분 59초가량의 전체 동영상을 공개했다.

 

그 동영상에는 술 취한 남성 A 씨가 남성 경찰관의 뺨을 때리기 전인 욕설 상황부터 남성 경찰이 이 취객을 제압하는 장면, 취객  B 씨가 여경을 밀쳤지만 여경이 무선으로 지원을 요청했고, 이어서 이 남성을 무릎으로 눌러 제압하는 과정에서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는 등 체포하는 장면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이 영상을 공개하며 서울 구로경찰서는 "당시 경찰관들은 정당하게 업무를 처리했고, 체포 과정에서 여경의 대응은 매뉴얼에 따라 제대로 한 것"이라며 반박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동영상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해당 여경이 경찰이 아닌 사람에게 수갑을 채워달라고 다급하게 요청하는 목소리가 문제가 됐다.

 

이에 대해 경찰은 "체포 과정에서 A 씨가 남경의 뺨을 때리자 남경이 즉시 제압했고, 여경은 수갑을 전달하려던 도중 한 손으로 또다른 피의자 B 씨를 대응하고 있었다. 이 피의자의 저항이 심해지자 여경은 무전으로 경찰관 증원을 요청했다"라며, "수갑을 채워달라고 부탁한 것도 일반 시민이 아닌 그 때 도착한 지구대 다른 경찰관에게 지원 요청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부 인터넷에 게재된 글에는 피의자들을 노인이라고 표현되어 있지만, 피의자들은 40대와 50대 남성이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취객 두명을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구속해 조사하고 있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