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심석희 성폭행 '미투', 조재범 전 코치 하나씩 드러나는 증거에도 끝까지 '성폭행 부인'... '근자감'은 어디에서?

 

【뉴스라이트 = 김정민 기자】

경찰이 조재범 전 쇼트트랙 국가대표 코치를 상습 성폭행 혐의로 오늘 검찰에 송치했다.

심석희가 작성한 메모와 복원한 휴대전화 텔레그램 메시지가 결정적인 증거로 작용했다.

조재범 전 코치는 여전히 성폭행 혐의를 부인하고 있지만 경찰은 심석희 선수가 제시한 기록물과 문자메시지, 일관된 진술을 토대로 3년 넘게 상습 성폭행한 혐의가 입증된다고 판단하여 아동·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7일 검찰에 송치했다.

사정 당국과 빙상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해 12월 심 선수의 고소장을 접수한 지 50여 일 만에 이 같은 결과를 내놓기까지 수사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었다.

조 전 코치가 폭행은 인정했지만, 성폭행 부분에 대해 계속해서 부인해 왔기 때문이다.

성범죄 특성상 확실한 물증이 나오기 어려운 데다 조 전 코치가 심 선수의 피해 진술을 두고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하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심 선수는 4차례에 걸친 피해자 조사를 받았고, 조사 과정에서 자신이 기록해두었던 메모를 경찰에 제출했다.

이 메모는 "오늘은 기분이 매우 좋지 않다"라는 식으로 심 선수가 피해를 봤을 당시의 심정을 자신만이 알 수 있도록 에둘러 표현해 조 전 코치의 범행 일시와 장소가 모두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 메모를 통해 조 전 코치의 범행이 단건에 그치지 않고 수차례 반복된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더해 빙상연맹의 경기 일정표 등과 비교해 메모에 적힌 조 전 코치의 범행 일시와 장소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 조 전 코치가 지난 2014년 8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태릉·진천 선수촌과 한체대 빙상장 등 7곳에서 심 선수에게 수시로 성폭행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 같은 점에서 심 선수의 메모는 2000페이지 가량 되는 방대한 수사기록에 있어 매우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 선수는 자신의 메모를 제출하여 구체적이고 일관된 진술을 했으므로 경찰은 조 전 코치의 진술보다 심 선수의 진술에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

조 전 코치는 2차례에 걸친 피의자 조사에서 구체적인 반박 없이 "성폭행은 없었다"라는 주장만 반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조 전 코치로부터 압수한 휴대전화와 태블릿 PC 등에서 조 전 코치가 자신의 범행과 관련한 대화를 심 선수와 나눈 정황을 확인한 경찰은 조 전 코치의 혐의 입증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보고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넘기기로 했다.

조 전 코치의 휴대전화를 복원해 심 선수와 나눈 SNS 대화 내용까지 확인한 경찰은 심 선수가 실제 장소에 있지 않았다면 알 수 없을 사실까지 매우 구체적으로 진술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경찰 관계자는 "성범죄인 만큼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밝힐 수 없다"며 "피해자 진술, 복원된 대화 내용 등 여러 증거가 조 전 코치가 성폭행했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어 혐의 입증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심 선수는 조 전 코치로부터 수차례 성폭행과 강제추행을 당했다는 내용이 담긴 고소장을 지난해 12월 중순 경찰에 제출했다.

조 전 코치는 심 선수를 비롯한 쇼트트랙 선수 4명을 상습 폭행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10월을 선고받고 이에 불복해 항소했으나, 2심에서는 도리어 1년 6월이라는 더 무거운 실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이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평택시, 치매 환자 실종 예방사업 연중 실시
【뉴스라이트 = 박현서 기자】 평택시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하게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실종 예방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실종 예방사업으로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기(행복GPS) 제공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 △치매 체크 배회감지 서비스가 있으며 대상자의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다. 인식표는 대상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해 의류에 부착하는 표식으로, 실종 후 발견 시 경찰청에서 고유번호를 조회하면 실종자와 보호자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사전등록 서비스는 치매 환자의 지문과 사진 및 보호자 연락처 등 신상 정보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이다. 배회감지기(행복GPS)는 손목시계 형태로 치매 환자와 인지 저하자에게 무상 보급되며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해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람이 울리는 ‘안심존’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택보건소 관계자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불안을 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실종 예방 서비스에 대한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