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과기정통부, 카자흐스탄과 과학기술 및 디지털 협력 강화키로

 

 

【뉴스라이트 = 김정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 간 과학기술분야 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하는 등 과학기술・디지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은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중앙아시아에서 한국과의 경제협력 규모*가 최대인 국가이다. 금번 협력 체계 강화는 양국의 협력관계를 과학기술・디지털로 확장하고 실질적 협력과 투자 확대를 촉진 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종호 장관은 6.12.(목) 대통령궁에서 카자흐스탄의 사야삿 누르백(Sayasat NURBEK) 과학고등교육부* 장관과 한-카자흐스탄 간 과학기술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동 양해 각서는 카자흐스탄 볼라샥(Bolashak)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우수 연구 인력에 대한 교류 협력과 양국 고등교육기관・연구기관 간 협력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종호 장관은 양해 각서 체결에 앞서 6.11.(화) 오후 나자르바예프대학교(Nazarbayev University)에서 한국 유학・연구 경험이 있는 카자흐스탄 우수 과학기술 인재와의 간담회를 갖고, 양국 청년교류 확대를 위한 의견을 청취하고 한-카자흐스탄 간 협력의 가교역할을 당부하였다. 동 간담회에는 사야삿 누르백 과학고등교육부 장관도 함께 참석하여 양국 간 인력교류 협력에 대한 적극적 지지를 표명하였다. 

 

동 간담회에서는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양해 각서 체결도 이루어졌다. KAIST는 카자흐스탄 JSC 국제교류 센터* 부의장(의장 대행)과 기관 간 인력교류 등 포괄적 협력에 대해 합의하였다. 카자흐스탄 과학고등교육부는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를 모델로 하는 기관(Kaz-AIST)을 신설하고자 하는 계획을 밝히고 KAIST의 협력을 요청한 바 있다. 금번 KAIST의 카자흐스탄 기관과의 양해 각서 체결을 계기로 Kaz-AIST 설립 협력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호 장관은 6.12.(수) 오후 카자흐스탄 자슬란 마디예프(Zhaslan MADIYEV) 디지털개발・혁신 및 항공우주부* 장관과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디지털 분야의 급속한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양국의 협력도 변화가 필요한 만큼, 양 장관은 이미 협력중인 IT 협력 프로젝트** 외에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으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협력 양해 각서를 조속히 체결하기로 하였다. 

 

이종호 장관은 '양국은 2009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되면서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왔으나 카자흐스탄이 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으면서 양국의 협력 분야도 과학기술과 ICT 분야로 확장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오늘의 협력 강화 논의를 계기로 카자흐스탄의 우수한 인적자원을 유치하고 우리의 과학기술과 디지털기업 진출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경기소식

더보기

검색어 NOW

더보기

중년·신중년뉴스

중증응급질환 별 순환당직제로 대응.. 24시간 응급상황 대비
【뉴스라이트 = 이세현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지금 이 시간까지 의료계가 집단휴진 결정을 바꾸지 않고 계신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날 의사집단행동 중대본 회의에서 한 총리는 "이러한 행동은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기고, 의료계와 환자들이 수 십년에 걸쳐 쌓은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집단휴진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의료계를 설득하는 한편, 집단 휴진이 발생하더라도 환자분들이 병의원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응급의료포털, 지자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문 여는 병의원을 적극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정부는 의사 집단 진료거부에 대비해 중증,응급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를 더욱 강화하는데, 먼저 골든타임을 요하는 응급환자 진료 차질 최소화를 위해 17일부터 중증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당직제를 실시한다. 아울러 순환당직을 신청한 기관들은 매일 4개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 광역별로 최소 1개 이상 당직 기관을 편성해 야간 및 휴일 응급상황에 24시간 대비한다. 정부는 17일부터 급성대

포토갤러리

더보기